본문으로 건너뛰기

원시 값vs객체

질문 List

  1. 동적 타이핑을 지원하는 자바스크립트에서 데이터의 타입을 크게 2개로 나누는 이유가 있을까요? 🔥
  2. 값에 의한 전달이 뭔가요? 🔥
  3. 참조에 의한 전달이 뭔가요? 🔥

질문 & 정답 List

1. 동적 타이핑을 지원하는 자바스크립트에서 데이터의 타입을 크게 2개로 나누는 이유가 있을까요? 🔥

  1. 원시 타입의 값, 즉 원시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immutable value)이다. 이에 비해 객체(참조)타입의 값, 즉 객체는 변경 가능한 값(mutable value)이다.

  2. 원시 값을 변수에 할당하면 변수(확보된 메모리 공간)에는 실제 값(100, 실제로는 2진수)이 저장된다. 이에 비해 객체를 변수에 할당하면 변수(확보된 메모리 공간)에는 참조 값(메모리 주소, 0x00000613)이 저장된다.

  3. 원시 값을 갖는 변수를 다른 변수에 할당하면 원본의 원시 값이 복사되어 전달된다. 이를 값에 의한 전달이라 한다. 이에 비해 객체를 가리키는 변수를 다른 변수에 할당하면 원본의 참조 값(메모리 주소, 0x00000613)이 복사되어 전달된다. 이를 참조에 의한 전달이라 한다.

2. 값에 의한 전달이 뭔가요? 🔥

변수에 원시 값을 갖는 변수를 할당하면 할당받는 변수(copy)에는 할당하는 변수(score)의 원시 값이 복사되어 전달된다. 이를 '값에 의한 전달' 이라 한다.

var score = 80;

// copy 변수에는 score 변수의 값 80이 복사되어 할당된다.
var copy = score;

console.log(score, copy); // 80 80
console.log(score === copy); // true

// score 변수와 copy 변수의 값은 다른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별개의 값이다.
// 따라서 score 변수의 값을 변경해도 copy 변수의 값에는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는다.
score = 100;

console.log(score, copy); // 100 80
console.log(score === copy); // false

score 변수와 copy 변수의 값 80은 다른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별개의 값이라는 것에 주의하기 바란다. 따라서 score 변수의 값을 변경해도 copy 변수의 값에는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는다.

3. 참조에 의한 전달이 뭔가요? 🔥

객체는 프로퍼티의 개수가 정해져 있지 않으며, 동적으로 추가되고 삭제할 수 있다. 또한 프로퍼티의 값에도 제약이 없다. 따라서 객체는 원시 값(문자열 2바이트*문자, 숫자 8바이트)과 같이 확보해야 할 메모리 공간의 크기를 사전에 정해 둘 수 없다. 이러한 객체의 가변성의 성질 때문에 객체를 할당한 변수가 기억하는 메모리 주소를 통해 메모리 공간에 접근하면 참조 값에 접근할 수 있다. 참조 값은 생성된 객체가 저장된 메모리 공간의 주소, 그 자체이다.

var person = {
name: "Lee",
};

// 참조값을 복사(얕은 복사)
var copy = person;
  • 객체를 가리키는 변수(원본, person)를 다른 변수(사본, copy)에 할당하면 원본의 참조 값이 복사되어 전달된다. 이를 '참조에 의한 전달' 이라 한다.

4. 얕은 복사 vs 깊은 복사

  • 얕은 복사 : 객체를 복사할 떄 원본 값과 복사된 값이 같은 참조(=메모리 주소)를 가리키는 것
  • 객체를 깊은 복사하는 법
    1. Object.assign() : 2차원 이상의 객체는 얕은 복사 수행
    2. ... 스프레드 연산자 : 내부의 객체는 얕은 복사 진행
  • 깊은 복사 : 복사된 객체가 다른 주소를 참조하며 내부의 값만 복 사